자료방

[낙동정맥,금남호남,금남정맥] 등산코스지도

(하늘사랑) 2016. 4. 3. 10:56

 [낙동정맥,금남호남,금남정맥] 등산코스지도

 

 

 

 

  동정맥은

                      

[구간 개요 및 종주 계획]

낙동정맥 안내

○ 천의봉에서 굴러 떨어진 산줄기(매봉산 북동릉상 해발 1060m)는 피재에 이르러 빗물의 운명을 한강, 낙동강, 오십천으로 갈라 놓고는 대간의 기백을 이어받아 단숨에 백병산(1259m)을 일궈내고 남으로 거침없이 달려 내려가며 저마다 걸출한 이름을 내걸고 있는 산봉을 엮어가며 낙동강의 동쪽 수계를 형성하며 교통과 문화를 가르고 있다.

○ 때론 마을 가까이 내려와 민초들의 고달픈 삶을 아우르던 산줄기는 영남알프스란 거대한 산군을 다시 일궈내고는 끝내 동해로 스며들어 그 맥을 다한다.백두대간 천의봉에서 갈래쳐 줄창 동해를 가까이 두고 강원도와 경상도의 산간오지를 가르며 다대포 몰운대까지 기운차게 뻗어 내리는 산줄기가 바로 낙동정맥이다.

○ 일제시대 지질학적분류인 산맥개념중 태백산맥에 해당되는 부분이지만 태백산맥은 곳곳에 물길을 건너서게 되므로 진정한 산줄기의 개념이 아니고 산경표의 원리대로 산이 물을 가르지 않는 올곧은 줄기가 낙동정맥이다.

○ 낙동정맥은 국내 제일의 오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낙동강의 발원지인 강원도 태백의 황지와 한 몸이 되어 남쪽으로 이어지는 장대한 산줄기다. 낙동강의 수계를 형성하는 유역권 전체가 낙동강 물줄기를 중심으로 한쪽은 백두대간이고 한쪽은 낙동정맥이 된다. 지도상의 능선 거리만도 약 410km이고 고도와 기복을 감안한 실제거리는 약 700km가 넘는다.

구분

산행구간

도상거리

(=약)

예상

소요

시간

도업명

(1:50,000)

비고

구간

토.일자

정맥거리

(km)

누계

(km)

1구간

5월넷째

(28.토)

피재-유령산-우보산-통리-백병산-구랄산-
면산-석개재

25.0

25.0

10:00

태백,장성

2구간

6월두째
(11.토)

석개재-묘봉-용인등봉-삿갓봉-한나무재-

진조산-답운치

24.0

49.0

10:00

장성,소천

3구간

6월넷째
(25.토)

답운치-통고산-애미랑재-칠보산-깃재-길등재-

한티재

30.0

79.0 11:00

소천

4구간

7월두째(9.토)

한티재-추령-덕재-검마산-백암산-윗삼승령

27.0

106.0 10:30

소천~병곡

5구간 7월넷째
(23.토)
뒷삼승령-아랫삼승령-독경산-창수령-울치재 17.3 123.3

6:00

영양, 병곡

6구간 8월두째
(13.토)
울치재-OK목장-맹동산-봉화산-명동산-포도산-화매재-황장재

26.5

149.8

10:30

영양~청송

7구간

8월넷재
(27.토)

황장재-대둔산-먹구등-명동재-왕거암-별바위-
피나무재

24.0

173.8 10:00

청송

8구간

9월두째

(10.토)

피나무재-질고개-동점재-가사령-성법령 23.5 197.3

9:00

청송,기계

9구간

9월넷째
(24.토)

성법령-침곡산-한티재-불랫재-운주산-이리재 26.0

223.3

10:00

기계

10구간

10월두째
(8.토)
이리재-봉좌산-도덕산-삼성산-시태재-어림산-
마치재-한무당재

24.5

247.8

9:30

기계,경주

11구간

10월넷째(22.토)

한무당재-관산-만불산-아화고개-사룡산-숲재-
땅고개

27.0

274.8

10:30

경주

12구간

11월두째

(12.토)

땅고개-단석산-백운산-소호령-고헌산-외항재-

운문령

27.0

301.8

10:30

경주,언양

13구간

11월넷째
(26.토)
운문령-가지산-배내고개-간월산-신불산-
영축산-지경고개

24.5

326.3

10:00

언양,양산

14구간

12월두째
(10.토)
지경고개-정족산-안적고개-천성산-원효산-
운봉산-남락고개

29.0

355.3

11:00

양산

15구간

12월넷째
(24.토)
남락고개-계명봉-금정산-산성고개-만덕고개-
백양산-개금고개

24.0

379.3

9:30

양산,부산

16구간

1월두째
(14.토)
개금고개-엄광산-구덕산-시약산-봉화산-
아미산-몰운대

18.5

397.8

8:00

부산,김해

 

 

 

 

ㄷㄷ





























































금남정맥 회원모집("16년 5월부터 시작")

백두대간 종주를 완료한 후 오는 2016년 5월 부터 힘찬 발걸음으로 또 다시 야심차게 금남정맥 종주를 시작합니다.

그동안 백두대간 종주산행의 완주 경험을 바탕으로 맥(脈) 산행에 대한 그 열정을 담아 세심하고 치밀한 계획으로

산악인의 꿈인 1대간 9정맥 종주의 꿈을 함께 완성하고자 합니다.

정맥산행은 20km내외의 거리를 1구간으로 하여 산행하고 있습니다.

○ 매회차 산행참석회원님에게는 산행안내도, 산행코스설명, 추진하고 있는 정맥 관련 자료를 상세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 이번 금남정맥 산행은 체력이 상급이 아닌 중급 산악인도 완주할 수 있도록 추진합니다.(6~8시간 산행 능력)

금남정맥


구 간주요 산행지소재지산 행 코 스도상거리시 간
1구간주화산, 연석산전북 진안
전북 완주
모래재-조약봉(1.0)-입봉(2.0)-보룡고개(1.0)-황새목재(2.5)-연석산(4.5)-만항치(0.5)-운장산서봉(1.5)활목재(0.5)-피암목재(1.5)15.0km6.50


2구간장군봉, 금만봉, 백암산전북 완주
충남 금산
피암목재-성봉(2.5)-장군봉(2.0)-724.5봉(1.5)-싸리재(2.0)-금만봉(0.5)-작은싸리재(0.5)-봉수대(0.5)-786.6봉(2.0)-선봉삼거리(성치기맥 분기점, 4.0)-713.5봉(1.0)-질재(2.0)-육백고지(0.5)-백령고개(2.0)21.0km8


3구간인대산, 대둔산전북 완주
충남 금산
백령고개-470봉(1.5)-622.7봉(2.0)-인대산(2.0)-오항동안부(1.0)-635지방도(1.5)-560봉(2.0)-배티재(2.0)-640봉(0.5)-낙조대사거리(1.5)-대둔산정상(0.5)-깔딱재(2.0)-수락재(1.5)-수락마을(1.0)19km8


4구간월성봉, 바랑산, 함박봉충남 논산
전북 임실
수락마을-수락재(1.0)-월성봉(1.5)-바랑산(1.4)-물한이고개(2.1)-340봉(3.0)-호남고속도로(뒷목재, 1.0)-함박봉(3.0)-황령재(1.0)14km6.50


5구간천호봉, 향적산충남 논산
충남 계룡
황령재-대목재(1.0)-천호봉(2.0)-천마산(3.5)-양정고개(2.0)-308봉(1.5)-향적산삼거리(2.5)-멘재(0.5)-금강대학교(접속구간, 1.0)14km6.50


6구간계룡산충남 논산
충남 계룡
충남 공주
금강대학교-멘재(1.0)-513고지(1.0)-신원사사거리(2.5)-계룡산천황봉(1.5)-쌀개봉(0.5)-관음봉(0.5)-삼불봉(1.5)-금잔디고개(0.5)-464봉(2.5)-갑산수만학골사거리(1.0)-중장리고개(619지방도, 2.0)14.5km7


7구간팔재산, 안골산, 성향산충남 공주
충남 논산
중장리고개-팔재산(0.7)-널티(0.5)-상리임도(2.0)-범말사거리(2.0)-성항산(2.0)-양달뜸사거리(1.5)-69번지방도(2.5)-댓골사거리(2.5)-진고개(2.5)13.7km6


8구간금성산, 부소산충남 공주
충남 부여
진고개-265봉(3.0)-205봉(4.0)-184.9봉(2.5)-154.8봉(2.0)-4번국도(2.5)-금성산(1.0)-부소산(1.5)-구두레나루(1.0)17.5km7



금남정맥 안내

<금남정맥>

금남정맥은 산경표에서 말하는 우리나라 산줄기 13정맥 중 하나로 완주-진안 경계지점 모래재에서 부여 부소산에 이르는 산줄기를 말한다.

이는 금강 남쪽의 물막이가 된다하여 금남정맥이란 이름을 얻었다. 이를 다시 자세히 설명하자면 백두대간이 장수-함양 경계를 지날 때,

영취산이라는 봉우리를 만나는데 여기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산줄기가 장안산을 일으켜 신무산, 팔공산, 진안 성수산, 마이산, 부귀산으로

이어져 모래재가 넘는 완주 주화산에 이른다. 산경표에서는 이를 금남호남정맥이라고 하는데 주화산에서 다시 두 갈래로 갈라져 나간다.

이 중 북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금남정맥(錦南正脈)이라 한다.
이 산줄기는 최종 도착 지점 부여 백마강을 향하여 전북-충남과 경계를 이루며, 연석산, 운장산 서봉, 장군봉을 솟구치고는 충남 지역으로

넘어가서, 다시 백암산, 대둔산, 인대산, 바랑산, 월성봉, 계룡산을 일으킨 다음 부여 백마강 조룡대에서 총 126㎞에 이르는 그 끝을 맺게 된다.
하지만 금남정맥은 그 흐름에 있어 최근 새로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즉, 진안 왕사봉에서 서쪽으로 익산 미륵산을 거쳐 만경평야로 빠지는

산줄기가 진정한 금강의 남쪽 물막이라는 주장이 그 것이다.









1대간 9정맥